복부종양   

Cholangiocarcinoma 담도암의 방사선치료

암이란
2024-08-16
조회수 119

Cholangiocarcinoma: Radiation Therapy Overview



English Version

Cholangiocarcinoma, or bile duct cancer, is a rare but aggressive malignancy that arises from the bile ducts. Radiation therapy can be an important part of the treatment strategy, especially in cases where surgery is not feasible, or as an adjuvant to surgery.

1. Indications for Radiation Therapy

  •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Radiation therapy is often recommended after surgical resection, particularly for patients with high-risk features such as positive margins, lymph node involvement, or locally advanced disease. The goal is to reduce the risk of locoregional recurrence.
  • Definitive Chemoradiation: For patients with unresectable cholangiocarcinoma, radiation therapy combined with chemotherapy can be used as the primary treatment to control the disease.
  • Neoadjuvant Therapy: Radiation therapy may be used preoperatively to shrink the tumor and increase the likelihood of achieving clear surgical margins.
  • Palliative Treatment: In cases of advanced or metastatic cholangiocarcinoma, radiation therapy can be employed to relieve symptoms such as pain, jaundice, or biliary obstruction.

2. Treatment Field

  • Primary Tumor and Regional Lymph Nodes: The radiation field typically includes the primary tumor, the involved bile duct, and regional lymph nodes. Given the complexity of the anatomy, careful planning is required to minimize radiation exposure to adjacent structures such as the liver, stomach, small bowel, and kidneys.
  • Biliary Tract: In cases where the tumor involves the biliary tract extensively, the radiation field may need to cover the entire biliary tree, including both intrahepatic and extrahepatic bile ducts.

3. Radiation Dose

  •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Typically, doses range from 45 to 54 Gy in fractions of 1.8-2 Gy, delivered over 5-6 weeks. A boost to the tumor bed may be considered, depending on margin status and residual disease.
  • Definitive Chemoradiation: For unresectable cases, the dose may be escalated to 50.4-60 Gy in 1.8-2 Gy fractions, depending on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tumor.
  • Neoadjuvant Therapy: Similar to definitive therapy, the dose ranges from 45 to 50.4 Gy, aiming to shrink the tumor before surgery.
  • Palliative Radiation: Palliative doses are typically lower, ranging from 20 to 30 Gy in 5-10 fractions, depending on the patient's symptoms and overall condition.

4. Treatment Techniques

  •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 This technique uses imaging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of the treatment area, allowing for precise targeting of the tumor while sparing normal tissue.
  •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IMRT allows for more precise dose delivery to the tumor and involved bile ducts, reducing radiation exposure to surrounding normal tissues such as the liver and gastrointestinal organs.
  •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SBRT may be considered in select cases, particularly for small, localized tumors or in patients who cannot tolerate conventional fractionation.

5. Side Effects

  • Acute Effects: Common acute side effects include fatigue, nausea, vomiting, and transient elevations in liver enzymes. Patients may also experience gastrointestinal symptoms such as diarrhea or abdominal pain.
  • Radiation-Induced Liver Disease (RILD): A significant concern with radiation therapy in the liver is RILD, which can manifest as jaundice, ascites, and liver dysfunction. This risk is managed by carefully limiting the dose to normal liver tissue.
  • Biliary Strictures: Radiation may cause scarring or strictures in the bile ducts, potentially leading to biliary obstruction, which may require stenting or other interventions.

6. Follow-up

  • Imaging: Regular follow-up with imaging studies such as CT, MRI, or PET/CT is essential to assess the response to treatment, monitor for recurrence, and evaluate liver function.
  • Liver Function Tests: Ongoing monitoring of liver function through blood tests (e.g., liver enzymes, bilirubin) is crucial, especially in patients with underlying liver disease.
  • Management of Late Effects: Long-term follow-up is necessary to manage potential chronic liver damage, biliary complications, and monitor overall health.

Korean Version

담관암 또는 담도암은 드물지만 공격적인 악성 종양으로, 담관에서 발생합니다. 방사선 치료는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나 수술 후 보조 치료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1. 방사선치료 적응증

  • 수술 후 보조 치료: 수술적 절제 후, 특히 양성 절제 변연, 림프절 침범, 또는 국소 진행성 질환과 같은 고위험 특징이 있는 환자에게 방사선 치료가 자주 권장됩니다. 목표는 국소 재발 위험을 줄이는 것입니다.
  • 정확한 화학방사선 치료: 절제 불가능한 담관암 환자의 경우, 방사선 치료는 화학 요법과 병행하여 주요 치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수술 전 화학방사선 치료: 종양을 축소하고 수술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수술 전에 방사선 치료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완화 치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담관암의 경우, 방사선 치료는 통증, 황달 또는 담관 폐쇄와 같은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2. 치료 범위

  • 일차 종양과 지역 림프절: 방사선 치료 범위는 일반적으로 일차 종양, 관련된 담관, 및 지역 림프절을 포함합니다. 해부학적 복잡성을 감안하여 간, 위, 소장, 신장과 같은 인접 구조물에 대한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심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 담도계: 종양이 담도계를 광범위하게 침범한 경우, 방사선 치료 범위는 간내 및 간외 담관을 포함한 전체 담도계를 포괄할 수 있습니다.

3. 방사선 선량

  • 수술 후 보조 치료: 일반적으로 5-6주 동안 1.8-2 Gy로 분할된 45-54 Gy의 선량이 투여됩니다. 양성 절제 변연 및 잔여 질병 상태에 따라 종양 침상에 추가 부스트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정확한 화학방사선 치료: 절제 불가능한 경우, 종양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선량이 1.8-2 Gy로 분할된 50.4-60 Gy까지 증가될 수 있습니다.
  • 수술 전 방사선 치료: 수술 전 치료의 경우, 종양 축소를 위해 45-50.4 Gy의 선량이 사용됩니다.
  • 완화 방사선 치료: 완화 치료의 경우 선량은 일반적으로 5-10회 분할로 20-30 Gy 범위입니다.

4. 치료 기법

  •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 치료(3D-CRT): 3D-CRT는 치료 영역의 3차원 표현을 생성하여 정상 조직을 보호하면서 종양을 정확하게 타겟팅할 수 있게 합니다.
  • 강도 변조 방사선 치료(IMRT): IMRT는 종양과 관련된 담관에 더 정밀한 선량을 전달하여 간과 위장관과 같은 주변 정상 조직에 대한 방사선 노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정위체 방사선 치료(SBRT): SBRT는 특히 소형 국소 종양이 있거나 기존 분할 치료를 견딜 수 없는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5. 부작용

  • 급성 부작용: 일반적인 급성 부작용으로는 피로, 메스꺼움, 구토, 일시적인 간 효소 상승이 포함됩니다. 환자는 설사 또는 복통과 같은 위장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방사선 유발 간질환(RILD): 간 방사선 치료에서 중요한 우려 사항은 RILD로, 황달, 복수 및 간 기능 장애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위험은 정상 간 조직에 대한 선량을 제한하여 관리됩니다.
  • 담관 협착: 방사선 치료는 담관에 흉터나 협착을 일으켜 담관 폐쇄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텐트 삽입이나 기타 중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6. 추적 관리

  • 영상 검사: CT, MRI 또는 PET/CT와 같은 영상 검사를 통한 정기적인 추적 검사가 치료 반응을 평가하고 재발을 모니터링하며 간 기능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간 기능 검사: 특히 간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는 간 효소 및 빌리루빈과 같은 혈액 검사를 통한 간 기능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 지연된 부작용 관리: 만성 간 손상, 담관 합병증을 관리하고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장기적인 추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