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종양   

Gastric Cancer 위암의 방사선치료

암이란
2024-08-16
조회수 90

Gastric Cancer: Radiation Therapy Overview



English Version

Radiation therapy for gastric cancer is an integral part of the treatment, particularly for locally advanced disease. It is often combined with chemotherapy (chemoradiation) to enhance treatment efficacy.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varies depending on the stage of the disease and the surgical outcomes.

1. Indications for Radiation Therapy

  •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Radiation therapy is commonly recommended after surgery (gastrectomy) for patients with high-risk features, such as positive surgical margins, lymph node involvement, or T3/T4 tumors. The goal is to reduce the risk of locoregional recurrence.
  • Definitive Chemoradiation: For patients who are not candidates for surgery due to comorbidities or tumor location, definitive chemoradiation can be used to control the disease.
  • Neoadjuvant Chemoradiation: Radiation therapy may be used before surgery in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to shrink the tumor and improve surgical outcomes.
  • Palliative Radiation: In cases of advanced or metastatic disease, radiation therapy may be employed to relieve symptoms such as bleeding, obstruction, or pain.

2. Treatment Field

  • Postoperative Radiation: The radiation field generally includes the tumor bed, anastomosis site, and regional lymph nodes, particularly those at risk for microscopic disease. The specific regions irradiated depend on the tumor’s original location and the extent of lymph node involvement.
  • Definitive and Neoadjuvant Radiation: The treatment field in definitive or neoadjuvant settings also includes the primary tumor, regional lymph nodes, and potentially involved structures such as the pancreas or spleen if they are at risk of invasion.
  • Palliative Radiation: The field is usually more limited, focusing on areas causing symptoms, such as a bleeding tumor or a site of obstruction.

3. Radiation Dose

  •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Typically, 45-50.4 Gy is delivered in fractions of 1.8-2 Gy over 5-6 weeks. The dose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extent of residual disease or the patient’s tolerance.
  • Definitive Chemoradiation: Similar doses of 45-50.4 Gy in 1.8-2 Gy fractions are typically used, sometimes escalating to 54 Gy depending on tumor size, location, and response to treatment.
  • Neoadjuvant Chemoradiation: Doses are generally in the range of 45 Gy in 1.8-2 Gy fractions, combined with chemotherapy.
  • Palliative Radiation: Palliative doses vary depending on the symptoms and treatment goals but typically range from 20 Gy in 5 fractions to 30 Gy in 10 fractions.

4. Treatment Techniques

  •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 3D-CRT uses imaging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of the treatment area, allowing for precise targeting of the tumor while sparing normal tissue.
  •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IMRT is often used in gastric cancer to deliver more precise radiation doses, especially when critical structures like the liver, kidneys, and spinal cord are nearby.
  •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 VMAT is an advanced form of IMRT that allows for faster treatment delivery with potentially fewer side effects.

5. Side Effects

  • Acute Effects: Common acute side effects include nausea, vomiting, diarrhea, abdominal pain, and fatigue. Radiation to the stomach area can also cause gastric irritation, leading to a loss of appetite and weight loss.
  • Late Effects: Potential long-term side effects include radiation-induced gastritis, bowel obstruction, fibrosis, and, in rare cases, secondary cancers in the irradiated field.

6. Follow-up

  • Imaging: Regular follow-up with CT or MRI scans is essential to monitor for recurrence and assess the response to treatment. Endoscopic evaluations may also be necessary.
  • Clinical Examination: Ongoing clinical assessments are crucial for managing side effects and monitoring nutritional status, especially given the potential for weight loss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 Management of Late Effects: Long-term follow-up is necessary to manage chronic gastrointestinal symptoms, nutritional deficiencies, and monitor for any signs of recurrence or late complications.

Korean Version

위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는 특히 국소 진행성 질환에서 중요한 치료의 일부입니다. 방사선 치료는 종종 화학 요법과 병행하여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며, 질병 단계와 수술 결과에 따라 그 역할이 달라집니다.

1. 방사선치료 적응증

  • 수술 후 보조 치료: 방사선 치료는 양성 절제 변연, 림프절 침범, T3/T4 종양과 같은 고위험 특징을 가진 환자에게 수술 후 권장됩니다. 목표는 국소 재발의 위험을 줄이는 것입니다.
  • 정확한 화학방사선 치료: 동반 질환이나 종양 위치로 인해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질병을 제어하기 위해 정확한 화학방사선 치료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수술 전 화학방사선 치료: 종양을 축소하고 수술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수술 전에 화학 요법과 함께 방사선 치료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완화 방사선 치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질환에서 방사선 치료는 출혈, 폐쇄, 통증과 같은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2. 치료 범위

  • 수술 후 방사선: 방사선 치료 범위는 일반적으로 종양 침상, 문합 부위 및 림프절을 포함하며, 특히 미세 질병 위험이 있는 부위에 초점을 맞춥니다. 조사되는 특정 부위는 종양의 원래 위치와 림프절 침범의 범위에 따라 달라집니다.
  • 정확한 및 수술 전 방사선 치료: 정확한 또는 수술 전 설정에서의 치료 범위는 일차 종양, 지역 림프절 및 췌장이나 비장과 같은 잠재적 침범 구조물을 포함합니다.
  • 완화 방사선 치료: 완화 목적의 경우, 출혈성 종양이나 폐쇄 부위와 같은 증상을 일으키는 부위에 집중합니다.

3. 방사선 선량

  • 수술 후 보조 치료: 일반적으로 5-6주 동안 1.8-2 Gy로 분할된 45-50.4 Gy를 투여합니다. 잔여 질병의 범위나 환자의 내성에 따라 선량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정확한 화학방사선 치료: 일반적으로 45-50.4 Gy를 1.8-2 Gy로 분할하여 사용하며, 종양 크기, 위치 및 치료 반응에 따라 최대 54 Gy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수술 전 화학방사선 치료: 일반적으로 화학 요법과 함께 1.8-2 Gy로 분할된 45 Gy 선량이 사용됩니다.
  • 완화 방사선 치료: 완화 선량은 증상과 치료 목표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5회 분할로 20 Gy에서 10회 분할로 30 Gy 범위입니다.

4. 치료 기법

  • 3차원 입체조형 방사선 치료(3D-CRT): 3D-CRT는 치료 영역의 3차원 표현을 생성하기 위해 이미징을 사용하여 정상 조직을 보호하면서 종양을 정확하게 타겟팅할 수 있습니다.
  • 강도 변조 방사선치료(IMRT): IMRT는 위암에서 더 정확한 방사선 선량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간, 신장, 척수와 같은 중요한 구조물 근처에서 효과적입니다.
  • 체적 변조 아크 치료(VMAT): VMAT는 IMRT의 고급 형태로, 더 빠른 치료 제공이 가능하며 부작용이 적을 수 있습니다.

5. 부작용

  • 급성 부작용: 일반적인 급성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복통 및 피로가 있습니다. 위 부위에 대한 방사선 치료는 위장 자극을 유발하여 식욕 감소 및 체중 감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지연된 부작용: 장기적인 부작용으로는 방사선 유발 위염, 장 폐쇄, 섬유화 및 드문 경우 방사선 조사 부위에서 이차 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추적 관리

  • 영상 검사: 정기적인 CT 또는 MRI 스캔을 통해 재발을 모니터링하고 치료 반응을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내시경 평가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임상 검사: 지속적인 임상 평가는 부작용 관리와 특히 체중 감소 및 위장 증상을 고려한 영양 상태 모니터링에 중요합니다.
  • 지연된 부작용 관리: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만성 위장 증상, 영양 결핍 관리 및 재발 징후나 지연된 합병증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