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경부암   

Paranasal Sinus Cancer 부비동암의 방사선치료

암이란
2024-08-13
조회수 147

Paranasal Sinus Cancer: Radiation Therapy Overview



English Version

Paranasal sinus cancer is a rare malignancy that arises from the lining of the sinuses around the nose, including the maxillary, ethmoid, frontal, and sphenoid sinuses. Due to the complex anatomy and proximity to critical structures such as the eyes, brain, and cranial nerves, radiation therapy is a key component in the management of this cancer, often used in conjunction with surgery and chemotherapy.

1. Indications for Radiation Therapy

  • Post-Surgical Adjuvant Therapy: Radiation therapy is commonly used after surgery to eliminate microscopic residual disease, particularly in cases with high-risk features such as positive or close surgical margins, perineural invasion, or bone invasion.
  •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ho are not candidates for surgery due to the tumor's location, medical comorbidities, or patient preference, radiation therapy may be used as the primary treatment modality, often in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 Recurrent Disease: Radiation therapy, including reirradiation, may be considered for recurrent paranasal sinus cancer, depending on the extent of recurrence, prior treatments, and patient health.

2. Treatment Field

  • Primary Tumor and Involved Areas: The radiation field should encompass the entire tumor bed, including the involved sinus and any areas of potential microscopic spread. This may include adjacent structures such as the orbit, cranial base, and regional lymph nodes, particularly if they are involved or at high risk for involvement.
  • Elective Nodal Irradiation: The neck is not routinely irradiated unless there is clinical or radiographic evidence of nodal involvement, as lymphatic spread is less common in paranasal sinus cancers. However, in cases of advanced disease or specific histologies (e.g., squamous cell carcinoma), elective nodal irradiation may be considered.

3. Radiation Dose

  •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The standard dose for adjuvant radiation therapy is typically 60-66 Gy in 2 Gy fractions over 6-7 weeks. Higher doses (up to 70 Gy) may be considered in cases with positive surgical margins or high-risk features.
  •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For non-resectable tumors or when surgery is not performed, a dose of 66-70 Gy in 2 Gy fractions is typically used over 6-7 weeks, often combined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 Elective Nodal Areas: If nodal irradiation is indicated, elective areas typically receive 50-54 Gy in 1.8-2 Gy fractions.
  • Reirradiation: For recurrent cases, reirradiation doses typically range from 50-60 Gy, depending on prior radiation exposure and the time interval since the initial treatment.

4. Treatment Techniques

  •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IMRT is the standard technique for treating paranasal sinus cancer due to its ability to deliver high doses to the tumor while minimizing exposure to surrounding critical structures such as the optic nerves, brain, and salivary glands.
  •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 An advanced form of IMRT, VMAT allows for even more precise targeting with shorter treatment times.
  • Proton Therapy: Proton therapy may be considered in specific cases where reducing radiation dose to surrounding normal tissues is particularly important, such as in younger patients or those with tumors close to critical structures like the optic nerves and brainstem.
  •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SBRT may be used in select cases, particularly for small, localized recurrences, to deliver a high radiation dose directly to the tumor bed while sparing surrounding tissue.

5. Side Effects

  • Acute Effects: Common acute side effects include mucositis, xerostomia (dry mouth), skin reactions, and fatigue. Patients may also experience sinus congestion, epistaxis (nosebleeds), and vision changes, depending on the tumor's location and the structures involved.
  • Late Effects: Potential long-term effects include fibrosis, chronic sinusitis, osteoradionecrosis (bone death, particularly of the maxilla), cranial nerve damage, vision loss, and secondary malignancies in the irradiated field.

6. Follow-up

  • Imaging: Regular follow-up with MRI or CT scans post-treatment is essential to monitor for local control, regional disease, or distant metastasis. PET-CT may also be used in certain cases.
  • Clinical Examination: Regular physical exams, including endoscopic examination of the nasal cavity and sinuses, are necessary to detect any signs of recurrence or complications from treatment.
  • Management of Late Effects: Long-term follow-up is necessary to manage and mitigate late effects such as sinusitis, vision changes, and osteoradionecrosis. Patients may require interventions such as sinus surgeries, ophthalmologic care, and dental evaluations.


Korean Version

부비동암은 드문 악성 종양으로, 코 주위의 부비동(상악동, 사골동, 전두동, 접형동)의 내벽에서 발생합니다. 해부학적으로 복잡한 구조와 눈, 뇌, 뇌신경과 같은 중요한 구조물에 인접해 있어 방사선 치료는 이 암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종종 수술 및 화학 요법과 병행하여 사용됩니다.

1. 방사선치료 적응증

  • 수술 후 보조 치료: 방사선 치료는 미세한 잔여 질병을 제거하기 위해 수술 후 자주 사용되며, 특히 양성 절제 변연, 신경 주위 침윤, 또는 뼈 침범과 같은 고위험 특징이 있는 경우에 필요합니다.
  • 정확한 방사선 치료: 종양의 위치, 의학적 동반 질환 또는 환자의 선호도 때문에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방사선 치료는 주요 치료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종종 화학 요법과 병행됩니다.
  • 재발성 질환: 재발성 부비동암의 경우, 재발의 범위, 이전 치료 및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방사선 치료, 특히 재방사선 치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2. 치료 범위

  • 일차 종양 및 침범된 부위: 방사선 치료 범위는 종양 침범 부위와 잠재적 미세 질병 확산 부위를 포함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눈 주변, 두개저, 및 인접 림프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이 침범되었거나 침범의 위험이 높은 경우에 해당됩니다.
  • 예방적 림프절 조사: 부비동암의 경우 림프절 전이가 드물기 때문에 경부 림프절이 일반적으로 조사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진행된 질환이나 특정 조직형(예: 편평세포암)의 경우 예방적 림프절 조사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3. 방사선 선량

  • 수술 후 보조 치료: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표준 선량은 일반적으로 60-66 Gy이며, 2 Gy씩 분할하여 6-7주 동안 투여됩니다. 양성 절제 변연이나 고위험 특징이 있는 경우 더 높은 선량(최대 70 Gy)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정확한 방사선 치료: 절제 불가능한 종양이거나 수술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66-70 Gy의 선량이 2 Gy씩 분할되어 6-7주 동안 투여되며, 종종 동시 화학 요법이 병행됩니다.
  • 예방적 림프절 지역: 림프절 조사 시 예방적 지역은 일반적으로 50-54 Gy의 선량을 1.8-2 Gy씩 분할하여 받습니다.
  • 재방사선 치료: 재발성 질환의 경우, 이전 방사선 노출과 초기 치료 후 경과 시간에 따라 50-60 Gy의 재방사선 선량이 사용됩니다.

4. 치료 기법

  • 강도 변조 방사선치료(IMRT): IMRT는 부비동암 치료의 표준 기법으로, 종양에 높은 선량을 전달하면서 시신경, 뇌, 이하선과 같은 주변 중요한 구조물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체적 변조 아크 치료(VMAT): IMRT의 고급 형태로, 보다 정밀한 타겟팅과 짧은 치료 시간을 제공합니다.
  • 양성자 치료: 특히 젊은 환자나 시신경 및 뇌간과 같은 중요한 구조물 근처에 있는 종양의 경우, 주변 정상 조직에 대한 방사선 선량을 줄이기 위해 양성자 치료가 선택적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정위체 방사선 치료(SBRT): 특히 작은 국소 재발의 경우, 주변 조직을 보호하면서 종양 부위에 직접 높은 방사선 선량을 전달하기 위해 SBRT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5. 부작용

  • 급성 부작용: 흔한 급성 부작용으로는 점막염, 구강 건조증, 피부 반응 및 피로가 있으며, 종양의 위치와 관련된 구조물에 따라 부비동 충혈, 코피 및 시력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지연된 부작용: 장기적인 부작용으로는 섬유증, 만성 부비동염, 하악골의 골 괴사, 뇌신경 손상, 시력 상실 및 방사선 유발 이차 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추적 관리

  • 영상 검사: 치료 후 정기적인 MRI 또는 CT 스캔을 통해 국소 제어, 인근 질환, 또는 원격 전이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특정 경우에는 PET-CT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임상 검사: 부비동과 비강의 내시경 검사를 포함한 정기적인 신체 검사를 통해 재발 또는 치료로 인한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해야 합니다.
  • 지연된 부작용 관리: 만성 부비동염, 시력 변화, 및 골 괴사와 같은 지연된 부작용을 관리하고 줄이기 위해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환자들은 부비동 수술, 안과 치료, 치과 평가 등의 중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