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경부암   

Tonsil Cancer (Oropharyngeal Cancer) 구인두 - 편도암

암이란
2024-08-13
조회수 170

Tonsil Cancer (Oropharyngeal Cancer): Radiation Therapy Overview



English Version

Tonsil cancer, a subtype of oropharyngeal cancer, arises from the palatine tonsils located in the oropharynx. This type of cancer is often associated with human papillomavirus (HPV) infection, which has implications for treatment and prognosis. Radiation therapy is a critical component of managing tonsil cancer, either as a definitive treatment or in combination with surgery and chemotherapy, depending on the stage of the disease.

1. Indications for Radiation Therapy

  • Primary Treatment: Radiation therapy is often the primary treatment for early-stage tonsil cancer (T1-T2), especially when organ preservation is a priority.
  • Locally Advanced Disease (T3-T4): For more advanced stages, radiation therapy is typically combined with chemotherapy (chemoradiation) as a definitive treatment to enhance outcomes and preserve oropharyngeal function.
  • Post-Surgical Adjuvant Therapy: Radiation therapy is indicated post-operatively if there are high-risk features such as positive or close surgical margins, extracapsular extension of nodal disease, or multiple lymph node involvement.
  • Recurrent Disease: Radiation therapy, including reirradiation, can be considered for recurrent or residual disease,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surgery.

2. Treatment Field

  • Primary Tumor and Regional Nodes: The radiation field must include the primary tumor site at the tonsil, the oropharynx, and involved regional lymph nodes. Typically, this includes bilateral cervical lymph nodes (levels II-IV) due to the high risk of nodal involvement. In more advanced cases, the radiation field may extend to include the retropharyngeal nodes and possibly the supraclavicular fossa.
  • Elective Nodal Irradiation: For patients with clinically node-negative disease, elective nodal irradiation is recommended to include levels II-V on both sides, as well as the retropharyngeal nodes, due to the high likelihood of microscopic disease.

3. Radiation Dose

  •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For primary treatment of non-resectable tumors or when surgery is not performed, a dose of 66-70 Gy in 2 Gy fractions is typically delivered over 6-7 weeks.
  •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A standard dose of 60-66 Gy in 2 Gy fractions over 6-7 weeks is used. If high-risk features are present (e.g., positive margins, extracapsular spread), the dose may be escalated to 66-70 Gy.
  • Elective Nodal Areas: Clinically uninvolved but at-risk nodal areas typically receive 50-54 Gy in 1.8-2 Gy fractions.
  • Reirradiation: For recurrent cases, reirradiation doses typically range from 50-60 Gy, depending on prior radiation exposure and the time interval since the initial treatment.

4. Treatment Techniques

  •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IMRT is the standard technique for treating tonsil cancer due to its ability to deliver high doses to the tumor while minimizing exposure to surrounding critical structures such as the spinal cord, brainstem, parotid glands, and oral cavity.
  •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 An advanced form of IMRT, VMAT provides even more precise targeting with shorter treatment times.
  • Brachytherapy: In selected cases, particularly for small, localized recurrences, brachytherapy may be considered to deliver a high radiation dose directly to the tumor bed while sparing surrounding tissue.
  • Proton Therapy: May be considered in specific cases where reducing radiation dose to surrounding normal tissues is particularly important, such as in younger patients or those with tumors close to critical structures.

5. Side Effects

  • Acute Effects: Common acute side effects include mucositis, xerostomia (dry mouth), dysphagia (difficulty swallowing), taste changes, and skin reactions. These side effects typically peak towards the end of treatment.
  • Late Effects: Potential long-term effects include fibrosis, trismus (restricted jaw movement), osteoradionecrosis (bone death, particularly of the mandible), chronic xerostomia, dysphagia, and potentially, radiation-induced secondary malignancies.

6. Follow-up

  • Imaging: Regular imaging with MRI or CT scans post-treatment is essential to monitor for local control, regional disease, or distant metastasis.
  • Clinical Examination: Regular physical exams, including endoscopic examination of the oropharynx and neck, to detect any signs of recurrence or new primary cancers.
  • Management of Late Effects: Long-term follow-up is necessary to manage and mitigate late effects such as xerostomia, trismus, and osteoradionecrosis. Dental evaluations and interventions are often required to prevent and manage osteoradionecrosis.


Korean Version

편도암은 구인두암의 한 아형으로, 구인두에 위치한 구개 편도에서 발생합니다. 이 유형의 암은 종종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치료와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방사선 치료는 편도암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병의 단계에 따라 수술 및 화학 요법과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습니다.

1. 방사선치료 적응증

  • 일차 치료: 방사선 치료는 장기 보존이 우선시되는 초기 단계(T1-T2) 편도암의 경우 주요 치료법으로 사용됩니다.
  • 국소 진행성 질환(T3-T4): 더 진행된 단계에서는 방사선 치료가 화학 요법과 함께 사용되며, 이는 치료 효과를 높이고 구인두 기능을 보존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됩니다.
  • 수술 후 보조 치료: 방사선 치료는 수술 후 양성 절제 변연, 림프절 외 확장, 다수의 양성 림프절과 같은 고위험 특징이 있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재발성 질환: 방사선 치료, 특히 재방사선 치료는 재발성 또는 잔여 질환의 경우 단독으로 또는 수술과 병행하여 고려될 수 있습니다.

2. 치료 범위

  • 일차 종양 및 인근 림프절: 방사선 치료 범위는 편도, 구인두, 그리고 침범된 경부 림프절을 포함해야 합니다. 보통 이 범위에는 양측 경부 림프절(level II-IV)이 포함되며, 이는 림프절 침범의 위험이 높기 때문입니다. 진행된 경우, 방사선 범위는 후인두 림프절과 쇄골 상부까지 확장될 수 있습니다.
  • 예방적 림프절 조사: 임상적으로 림프절 음성인 환자의 경우에도, 양측 경부 림프절(level II-V) 및 후인두 림프절을 포함한 예방적 림프절 조사가 잠재적 미세 질병을 대상으로 권장될 수 있습니다.

3. 방사선 선량

  • 정확한 방사선 치료: 절제 불가능한 종양이거나 수술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66-70 Gy의 선량이 2 Gy씩 분할되어 6-7주 동안 투여됩니다.
  • 수술 후 보조 치료: 수술 후 보조 방사선 치료의 표준 선량은 60-66 Gy이며, 2 Gy씩 분할하여 6-7주 동안 투여됩니다. 양성 절제 변연 또는 림프절 외 확장이 있는 경우, 선량이 66-70 Gy로 증가될 수 있습니다.
  • 예방적 림프절 지역: 임상적으로 침범되지 않았지만 위험이 있는 림프절 지역은 보통 50-54 Gy의 선량을 1.8-2 Gy씩 분할하여 받습니다.
  • 재방사선 치료: 재발성 질환의 경우, 이전 방사선 노출과 초기 치료 후 경과 시간에 따라 50-60 Gy의 재방사선 선량이 사용됩니다.

4. 치료 기법

  • 강도 변조 방사선치료(IMRT): IMRT는 편도암 치료의 표준 기법으로, 척수, 뇌간, 이하선, 구강과 같은 주변 중요한 구조물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종양에 높은 방사선 선량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체적 변조 아크 치료(VMAT): IMRT의 고급 형태로, 보다 정밀한 타겟팅과 짧은 치료 시간을 제공합니다.
  • 근접 방사선 치료: 특히 작은 국소 재발의 경우, 근접 방사선 치료가 주변 조직을 보호하면서 종양 부위에 직접 높은 방사선 선량을 전달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양성자 치료: 특히 젊은 환자나 중요한 구조물 근처에 있는 종양의 경우, 주변 정상 조직에 대한 방사선 선량을 줄이기 위해 양성자 치료가 선택적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5. 부작용

  • 급성 부작용: 흔한 급성 부작용으로는 점막염, 구강 건조증, 삼킴 곤란, 맛 변화, 피부 반응 등이 있으며, 이러한 부작용은 치료 말기에 절정에 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지연된 부작용: 장기적인 부작용으로는 섬유증, 저작근 경련, 하악골의 골 괴사, 만성 구강 건조증, 삼킴 곤란 및 방사선 유발 이차 암이 있을 수 있습니다.

6. 추적 관리

  • 영상 검사: 치료 후 정기적인 MRI 또는 CT 스캔을 통해 국소 제어, 인근 질환, 또는 원격 전이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임상 검사: 재발 또는 새로운 원발 암을 감지하기 위해 구인두와 경부의 내시경 검사를 포함한 정기적인 신체 검사가 필요합니다.
  • 지연된 부작용 관리: 구강 건조증, 저작근 경련, 골 괴사와 같은 지연된 부작용을 관리하기 위해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골 괴사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치과 평가 및 치료가 자주 필요합니다.
0 0